20대에 자주 걸리는 조현병의 초기증상과 원인, 예방, 치료과정 등을 요약합니다. 조현병 개요 조현병은 약 인구의 1% 정도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예전에는 정신분열증으로 불리다가, 병명의 부정적 이미지 문제로 2011년 조현병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시기는 남성의 경우 십대 중 후반에서 이십대 중 후반, 여성은 이십대 중후반에서 삼십대 중후반 사이에 주로 발병합니다. 이전에 발병한적이 없으면 60대 이후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으며, 여성의 경우 40대에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조현병의 초기증상 1) 일상 생활 중 망상이 많아집니다. 2) 환각이나 환청을 가끔 체험합니다. 3) 감정표현이 줄고 말수가 적어집니다. 4) 주의력이 많이 떨어지고 언어 능력이 떨어지기도 ..
미국 유명 일간지 허밍턴 포스트가 리서치를 통해 공개한 멘탈 강해지는 법을 토대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멘탈 강해지는법 1) 자신의 입장을 벗어나서 객관적인 입장으로 바라봅니다. 객관적으로 보기가 잘 안 된다면 무대 위에 자신과 상황을 올려놓고 관객이 되어 바라보는 상상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 ‘Let go’ 내려놓기 라는 말은 호주의 세계적인 영적지도자 아잔브람 스님의 주요 핵심 가르침 입니다.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 것이 원래 세상이라는 것을 받아드리고,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내려놓고 인정하는 습관을 들입니다. 3) 행복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으면 행복하지 않은 상태를 불행한 상태나 잘못된 상태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행복보다는 평온한 마음 혹은 평정심을..
우울증의 초기증상으로도 발생하는 무기력증은 초반 관리를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무기력증 테스트와 원인, 해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무기력증 원인 1) 우울증과 더불어 올 수 있습니다. 2) 완벽주의가 있을 때 뜻대로 되지 않아 생길 수 있습니다. 3) 워커 홀릭이 갑자기 무기력증과 우울증이 함께 올 수 있습니다. 4) 건강상의 변화나 신체적인 이유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라토닉 부족 등) 무기력증 체크리스트 1) 수동적이 되고 능동적인 일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2) 일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 있고 상황을 통제하기 어렵게 느낍니다. 3) 부정적인 사고가 많아집니다. 4) 의기소침해 보일 수 있습니다. 5) 신체적으로 자주 아프거나 몸이 좋지 않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6) 폭식을 하거나 반..